
외부 SMTP서비스로 baremail ( ベアメール, 베어메일 )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baremail ( ベアメール, 베어메일 )에서 운영중인 기술 블로그에 SPF레코드관련 기사가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작년에 SPF설정하면서 조사했던 내용을 정리했었는데 비교하며 다시 읽어보니 그 당시 필요한 부분만 정리했던지라 이 기회에 추가 정리를 합니다. 그런데 발음이 같다는 이유로 baremail ( ベアメール, 베어메일 )의 로고가 곰(bear)인 것은 매번 의아합니다. 뭔가 이유가 있겠지요.
2019/02/19 - [IT] - SPF를 설정해서 스팸메일을 막고, 스팸메일이 안되도록 합시다.
SPF를 설정해서 스팸메일을 막고, 스팸메일이 안되도록 합시다.
메일발송량이 많아지고, 메일주소변경등의 이유로 User Unknown의 결과가 많아지면 수신메일서버로부터 제한이 걸리는 경우가 생깁니다. 특히 일본의 통신사메일의 경우 특히 더한 것 같습니다. (D
namwhis.tistory.com
baremail.jp/blog/2020/02/28/579/
SPFレコードの書き方とは?記述例を総まとめ | ベアメールブログ
はじめに Eメールは、多数の顧客へ効率よくアプローチできる仕組みです。しかし、近年、増え続けるスパムメールや迷惑メールの対策としてメールフィルターが強化された結果、内容に問
baremail.jp
3. SPF문법 ( 추가 )
기본 형식
도메인. IN TXT "[SPF version] [qualifier] [mechanism] : [값]"
SPF version | SPF자체의 버전을 기입, 원칙적으로 [v=spf1]을 기입, [v=spf1.0]같은 기입은 문법에러발생 | |
qualifier | 뒤에 오는 [mechanism]과 매치되는 인증 결과를 어떻게 처리할 지를 기입, 생략한 경우 [+] | |
[+] | 정상메일로 처리 | |
[-] | 부정메일로 처리, 메일 발송안됨 | |
[~] | 부정메일로 처리, 수신SMTP서버에 처리를 맡김 SoftFail | |
[?] | SPF레코드 없음으로 처리 | |
mechanism:값 | ip4:192.168.10.1 | IP지정,ip6도 가능 |
a:xxx.com | xxx.com의 A레코드 지정 | |
include:yyy.com | 다른 도메인의 SPF레코드를 참조해서 인증 | |
redirect=zzz.com | 리다이렉트한 도메인의 SPF레코드로 인증 | |
all | mechanism:값 들과 일치하지 않는 모든 경우 |
기입예
FDQN | v=spf1 a:www.xxx.com -all www.xxx.com에서의 메일만 정상메일로 처리 FDQN ( 도메인명 + 호스트명) : "www.xxx.com" 도메인명 : "xxx.com" 호스트명: "www" |
네트워크지정 | v=spf1 ip4:198.168.10.0/28 -all 198.168.10.0/28에서의 메일만 정상메일로 처리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형식으로 기입 |
서브도메인에 개별지정 | xxx.com. IN TXT"v=spf1 a:www.xxx.com -all" sub.xxx.com. IN TXT"v=spf1 a:sub.xxx.com -all" |
빈번한 에러
하나의 도메인에 여러 행의 설정 |
|
(X) xxx.com. IN TXT"v=spf1 +ip4:192.168.10.1 -all" "v=spf1 +ip4:192.168.10.2 -all" |
(O) xxx.com. IN TXT"v=spf1 +ip4:192.168.10.1 +ip4:192.168.10.2 -all" |
기입실수 | |
(X) ipv4 | ip4 |
서로 참조 루프 | |
xxx.com. IN TXT"v=spf1 include:yyy.com -all" yyy.com. IN TXT"v=spf1 include:xxx.com -all" |
baremail ( ベアメール, 베어메일 )의 기술 블로그에 메일관련 좋은 기사들이 많이 업데이트되어있습니다.
종종 확인하면서 레벨업을 해야겠습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Vue.js를 처음 프로젝트에 사용하면서 찾아봤던 것들의 정리입니다. (0) | 2021.03.12 |
---|---|
CSS Flexbox & Grid 요점정리 (0) | 2021.02.11 |
PHP: 기본을 충실히: array_search(), is_null(), 커맨드라인 옵션(-a, -S address:port) 그리고 워드프레스(WordPress)의 캐시(Cache) (0) | 2020.11.03 |
맥(macOS)에서의 파이썬(Python) 버전구분(관리 pyenv) 및 가상환경(venv)사용 (0) | 2020.10.28 |
MacBook Pro용 키보드 서비스 프로그램을 받았습니다. 부트캠프(Boot Camp) 디스크 사이즈도 변경했습니다. (0) | 2020.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