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의 양식

세바시(세상을 바꾸는 시간) 강연 : 신용하(유튜브 @라이브 아카데미 운영자) : 당신이 (영어를 배우는 데) 실패하는 이유

더 행복해지기 위해 노력하기보다 
지금의 불행을 합리화하는 것을 
더 편하다고 느끼지 말자
-신용하

많은 사람들 앞에서 이야기 하는 것이 처음일 뿐만 아니라, 특히 영어가 아닌 내용으로 사람들 앞에서 이야기 하는 것 자체도 처음이었어서 강연부탁의 연락을 받았을 때 가장 먼저 든 생각이 "하기 싫다, 너무 무섭다, 너무 귀찮고 힘들 것 같다."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바로 "하겠다"라고 답했다는 일화에서 위의 문구의 의미가 확 흡수됩니다.

 

영어를 성공적으로 배우는 방법으로 이야기를 시작해 무엇인가를 성공하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로 마칩니다.

시행착오를 겪으며 부딪히는 힘겨운 노력 속에서 무엇가를 이루게 된다는 간단하지만 실천하기 어려운 진리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스스로에게 너무 관대해져있는 자신을 꾸짖을 수 있었던 값진 시간이었습니다.

 

https://youtu.be/7H8E6PAe7fU

 

누구에게 무엇을 가르칠 수 없다.
스스로 깨닫는 것을 도울 뿐이다.
-갈릴레오 갈릴레이

많은 사람들이 영어에 시간과 돈을 투자하며 좋다는 교재, 좋다는 강사를 찾지만 결국 잘 하지 못하는 이유는 영어를 공부하는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영어는 [춤, 노래, 그림그리기, 운전, 자전거 타기]처럼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배우는 것이다. 

머릿 속에 담아놓는 지식이 아니라 실제로 활용하는 도구이다.  연습을 통해 감각을 익혀야한다.

근데요 선생님 
영어를 쓸 기회가 없어요.

운동선수는 당장 경기가 없어도 개인 훈련을 한다.

군인은 당장 싸울 적이 없어도 훈련을 한다.

영어로 누군가와 이야기를 하는 것은 연습이 아니라 그 순간이 실전이다.

 

그럼 연습을 어떻게 해야 할까?

영어를 잘하는 사람은 나보다 똑똑하거나 무슨 비결을 알고 있어서가 아니라 나보다 더 먼저, 더 많을 시간을 투자한 것일 뿐이다.

'저 사람은 똑똑해서가 아닐까? 저 사람은 좋은 학원다녀서 그런 것 아닐까? 저 사람은 외국인 친구가 있어서 그런 것 아닐까' 등의 마음을 극복하지 못하면 그들보다 노력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 만을 찾을 뿐이다.

나는 똑똑한게 아니다.
문제에 대해서 
더 오래 고민할 뿐이다.
-알베르트 아이슈타인
나보다 성공적이 사람은
나보다 많은 것을 이룬 사람은
하기 싫은 일을 나보다 많이 한 사람이다.
-신용하

쉽고 즐거운 시간 만을 보내면서 의미있는 결과를 바라는 것은 어린이의 마음이다.

무리하지마!
쉬엄 쉬엄해.
지금도 잘하고 있어.

나를 걱정해 주는 고마운 말들이지만

변화와 성장은 언제나
한계점에서 이루어진다.

한계점을 유지하고 그곳에 머물러있어야 한다.

변화와 성장을 위해서는 무리를 해야 하는게 맞다고 생각한다.

 

성공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아니라 생각을 바꿔야한다.

우리가 무엇인가를 하지않는 많은 이유 중에 하기 싫고 어렵기 때문에 안한다는 것이 가장 바보같은 이유이다.

지금까지 이룬 모든 것들은 지금까지 견뎌온 어려움들 덕분이다.

마음의 상처들은 그 순간에 부러지거나 무너지지 않았다는 증거이다.

앞으로 이루어 낼 모든 것들은 얼마만큼 싫고 어려운 일을 얼마나 견뎌내느냐에 달려있다.

 

 

항상 감사하며 보고 있는 라이브 아카데미의 빨간모자 선생님의 강연이라고 YouTube(유튜브)가 알려주어 보게 되었습니다.

성함도 처음 알게 되어 검색을 해봤는데.. 미국에 거주하시는 교포분이 아니셨네요.

이것 또한 저의 불행의 합리화였습니다.

1982년생으로 다섯 살 때 미국에 이민, 초등학교 6학년 2학기 귀국에서 한국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대학에서 호텔관광경영을 전공하셨다고 합니다. ( 혹시 후배..... )

귀국했는 때 한글을 읽을 줄 몰랐어서 자연스럽게 그 이후로도 계속 영어 컨텐츠를 가까이 하게되었고 영어 강사를 하면서 한국어, 한글을 잘 하게 되었다고 하네요.  2018년부터 관련 기사나 인터뷰가 많이 있었습니다. 생각보다 훨씬 영향력 있으신 분이었습니다.

 

 

반응형